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편성과 동질성의 관계

by ·  2020. 9. 25.
제국주의는 식민지의 영토뿐만 아니라 서구 중심의 이데올로기를 통해 식민지의 문화와 정신을 수용했다. 식민 통치 과정에서 이데올로기는 "과학적" 지식의 형태로 전파되었고, 역사 분야도 예외는 아니었으며, "현대사"는 식민 통치의 정당화를 위한 도구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근대사는 식민지의 근대교육 기관을 통해 서구의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담론을 전파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식민지의 역사를 구성하고 식민지가 역사에 대해 추론하는 방식을 지배하였다. 그러나 제국주의가 남긴 정신적 상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서구 역사는 세계사의 중심이 아니라 세계의 일부에 불과하다는 인식이 제기되고 있다. 서구 문명도 서구 문명과 같은 가치가 있으며, 서구 문명의 일부 요소는 비서구 지역에서 더 강조되고 있지만 중앙집권주의가 근본적으로 극복되었는지는 의문이다. 문명 담론과 담론의 "근대성"과 "진보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역사적 사고방식에 대해 급진적인 재고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대 역사의 핵심에는 역사주의의 핵심인 역사주의의 개념과 "진보"의 개념과 진보의 과정이 일정량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역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역사주의적인 이유에 따르면 시간은 항상 "동질적이고 공허한 시간"이며 역사적 진보로 채워지기를 기다린다. 현대사는 이질적인 지역의 다양한 역사적 현상에 관한 연구를 공간 사이안화 전략을 이용한 동질적 시간 위치 결정 기법으로 삼았다. 과거의 (전)과 현재의 (전)은 "진보"라는 개념과 지속해서 연결되었고, 각 시기에 비서의 역사와 서구의 역사를 배치했다. 즉 서구사회가 비서구 사회를 문명국가로 전환하는 사명이 있다는 제국주의 주장 하에서 서구와 비서구 단면적 모두에 걸쳐 같은 역사적 진보 과정을 밟아야 할 역사적 이유가 있다. 역사적 시간의 계층 구조는 서구와 서구 사이에만 존재하지 않았고, 각 국가와 사회 내에서 물리적으로 같은 "현재" 시간을 사는 사회 집단들 사이에서 "개발의 불균일성"이 재현되었습니다. 즉, 제국 시대 식민지 농민들은 이른바 근대발전에 늦도록 규정되어 있고, 여전히 현대생활의 후진적 실체로 간주하고 소외되고 배제되어 있지만, 한편으로는 근대로 강제되어 있다. 서구 중앙집권주의의 근대사를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단순히 비서양 공간은 문화적 고유가치를 가지고 있거나,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서구와 같은 역사적 진보의 과정을 밟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불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서로 다른 이질적이고 "감소할 수 없는" 역사적 시대가 "지금과 같이" 존재한다는 인식이다. "지금과 같이" 존재하는 역사는 현대 서사시와 권력 관계에 통합되지 않은 역사를 의미한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존재하기 위해 현대에서 종속될 수 없는 "이질성"을 적극적으로 포용해야 하고, 현대성이 가지고 있는 보편성과 동질성을 깨뜨릴 수 있다.

댓글